지난 시간에 배운 내용을 생각하며 지진송을 따라 불러 봅시다.
A. 지진파 중 고체만 통과하는 S파가 통과하지 못하는 것을 관측하여 액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지구는 어떻게 만들어 졌을까? 뜨거운 불구덩이 었던 지구는 지금 커다란 돌덩이가 되었다. 지권 중 지각을 이루고 있는 암석들도 녹을 수 있을까? 그 다음은 어떻게 될까?
‘중학교 실감형 콘텐츠’앱을 활용하여 화성암의 생성과정을 관찰하고 다음 물음에 답하여라.
‘중학교 실감형 콘텐츠’앱 실행 → 과학 → 1학년 → 화성암과 구성광물 관찰 → 아래 마커 비추기 → AR을 활용한 관찰 및 탐구
① 마그마 ② 용암
A. 심성암은 구성알갱이가 작고 화산암은 구성알갱이가 크다. 그 이유는 심성암은 오랜 시간에 걸쳐 천천히 식어가면서 결정(구성알갱이)가 맨눈으로 보일만큼 크게 자랄 시간을 가지게 되고, 화산암은 빨리 식기 때문에 결정이 성장할 충분한 시간을 갖지 못해 작다.
A. ① 현무암, 입자가 작고 어두운 색을 띠며 구멍이 나있다. ② 화강암, 눈으로 관찰할 수 있을 정도의 큰 입자가 있고 전체적으로 밝은 색을 띤다.
불 화, 산 산, 바위 암 / 깊을 심, 이룰 성, 바위 암 / 불 화, 언덕 강, 바위 암 / 검을 현, 무기 무, 바위 암
화성암과 같이 생성 방법을 기준으로 암석을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화성암: 한 마그마 또는 용암이 식으면 굳어져 생성되는 암석
퇴적암: 퇴적물 이 쌓인 후에 위층의 무게로 다져지고 굳어진 암석
변성암: 암석이 높은 열이나 압력을 받으면 성질이 변한 암석
A. 쌓일 퇴, 쌓일 적, 바위 암 / 불 화, 이룰 성, 바위 암 / 변할 변, 성질 성, 바위 암
A. 암석의 생성 과정
A. 현무암
내용구성: 정해윤(대구 성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