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20318)
01. 물질의 구성
이 단원에서는 물질의 바탕이 되는 기본 성분인 원소와 물질을 이루는 기본 입자인 원자에 대해 알아보고 원자, 분자, 이온의 개념을 구별하고 이를 모형과 기호로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봅시다.
8. 이온의 확인
생각열기
탐구하기
◎ 활동 - 용액의 성분 확인하기
(Q) 앙금 생성 반응 실험 결과, 앙금이 생기는 경우는 언제였나요?
(A) 염화 나트륨(NaCl) 수용액과 질산 은(AgNO₃) 수용액이 만날 때와 염화 칼슘(CaCl₂) 수용액과 질산 은(AgNO₃) 수용액이 만날 때 흰색 앙금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Q) 흰색 앙금은 수용액 속의 어떤 이온들이 만나 생성되었을까요?
(A) 염화 나트륨 수용액의 염화 이온(Cl⁻)과 질산 은 수용액의 은 이온(Ag⁺)이 만나 염화 은(AgCl)의 흰색 앙금이 생성되었다. 또한 염화 칼슘 수용액의 염화 이온(Cl⁻)과 질산 은 수용액의 은 이온(Ag⁺)이 만나 염화 은(AgCl)의 흰색 앙금이 생성되었다. .
(Q) 겉보기에 모두 투명한 설탕물과 소금물은 직접 용액을 마셔보면 달거나 짠 맛으로 구분 가능합니다. 이 두 용액을 맛보지 않고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요?
(A) 은 이온이 들어간 용액을 넣어보면 된다. 소금물은 염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용액 속에 염화 이온이 존재하여 은 이온이 들어 있는 용액을 넣어주면 흰색 앙금인 염화 은이 생성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반면 설탕물의 경우 은 이온이 들어간 용액을 넣어도 앙금이 생기지 않아 설탕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 더 보기 영상 - 앙금 생성반응
(Q) 염화 나트륨(NaCl) 수용액과 질산 은(AgNO₃) 수용액을 반응시킨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나요?
(A) 염화 나트륨(NaCl) 수용액의 염화 이온(Cl⁻)과 질산 은(AgNO₃) 수용액의 은 이온(Ag⁺)이 반응하여 염화 은(AgCl)의 흰색 앙금이 생성되었다.
(Q) 질산 납(Pb(NO₃)₂) 수용액 아이오딘화 칼륨(KI) 수용액을 반응시킨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나요?
(A) 질산 납(Pb(NO₃)₂) 수용액의 납 이온(Pb²⁺)과 아이오딘화 칼륨(KI) 수용액의 아이오딘 이온(I⁻)이 반응하여 아이오딘화 납(PbI₂)의 노란색 앙금이 생성되었다.
개념 정리
1. 앙금 생성 반응
1) 앙금 : 양이온과 음이온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물에 녹지 않는 물질
2) 앙금 생성 반응 : 서로 다른 수용액을 섞을 때 양이온과 음이온이 반응하여 물에 녹지 않는 앙금을 생성하는 반응
① 염화 나트륨(NaCl) 수용액과 질산 은(AgNO₃) 수용액의 반응 : 염화 이온(Cl⁻)과 은 이온(Ag⁺)이 반응하여 흰색의 염화 은(AgCl) 앙금을 생성
⇨ Ag⁺ + Cl⁻ → AgCl↓(흰색)
*나트륨 이온(Na⁺)과 질산 이온(NO₃⁻)은 반응하지 않고 이온으로 혼합 용액에 남아있다.
② 염화 칼슘(CaCl₂) 수용액과 질산 은(AgNO₃) 수용액의 반응 : 염화 이온(Cl⁻)과 은 이온(Ag⁺)이 반응하여 흰색의 염화 은(AgCl) 앙금을 생성
⇨ Ag⁺ + Cl⁻ → AgCl↓(흰색)
③ 질산 납(Pb(NO₃)₂) 수용액 아이오딘화 칼륨(KI) 수용액의 반응 : 납 이온(Pb²⁺)과 아이오딘 이온(I⁻)이 반응하여 노란색의 아이오딘화 납(PbI₂) 앙금을 생성
⇨ Pb²⁺ + I⁻ → PbI₂↓(노란색)
⇨ Ag⁺ + Cl⁻ → AgCl↓(흰색)
2. 여러가지 앙금
도전하기
내용구성: 이수영(대구 덕화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