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시간에는 유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는 법, 절댓값의 의미를 배웠습니다. 
오늘은 유리수의 대소 관계에 대해 배워봅시다. 
대소 관계는 크고 작은 수를 비교한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예를 들어 자연수 2, 자연수 4 중에 더 큰 수는? 
자연수 4라는걸 알 수 있죠? 
이처럼 대소 관계는 누가 누가 더 크고 작음을 비교하고 고를 수 있음을 의미해요. 
본격적으로 배워봅시다.
선생님이 준비한 다음 영상을 보면서 빈칸을 채워보도록 합시다.
빈칸을 다 채워 보았나요? 
같이 정해봅시다. 
유리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오른쪽에 있는 수가 왼쪽에 있는 수보다 큽니다.
 그림으로 살펴보면,
이렇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수직선 위에서 음수는 0의 왼쪽에 있으므로 0보다 작은 수를 의미하고, 
양수는 0의 오른쪽에 있으므로 0보다 큰 수를 의미합니다. 
그렇다면 당연히 양수는 음수보다 오른쪽에 있으므로 양수는 음수보다 크다는 걸 알 수 있겠지요? 
또, 수를 수직선 위에 나타냈을 때, 4가 2보다 큰 수인 이유는
 원점에서 멀리 떨어져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양수끼리는 원점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수가 오른쪽에 있으니깐 
절댓값이 큰 수가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음수끼리는 원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수가 왼쪽에 있으므로 
절댓값이 큰 수가 더 작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어때요 이해가 좀 되나요? 
그럼 위에 설명한 내용을 종합하여 유리수의 대소 관계를 정리해보도록 할게요.
한 눈에 보기 좋게 정리할 수 있겠죠? 
그럼 문제를 풀면서 오늘 배운 내용을 확인해 보도록 해요.
[문제1]
[문제2]
[풀이1]
[풀이2]
-3, 3, -1/ 0, +4/7, +3, 8 입니다.
오늘 유리수의 대소 관계에 대해 배워보았는데 어렵지는 않았나요? 
어려웠다면 영상을 한번 더 보면 이해가 잘 될 겁니다. 
오늘의 보충 심화로 퍼지 이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은 퍼지 이론에 대해 아시나요? 
우리 일상 생활 속에 있는 수학 이론을 한번 살펴보도록 해요. 
부담없이 영상을 시청하시면 됩니다. 
모두들 수고 많으셨습니다.
내용구성: 손은비(대구 입석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