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20323)

08. 서양 문명의 토대가 된 그리스

도입

그리스・로마 신화는 오늘날까지도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주면서 사랑받고 있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4년 마다 지구촌 세계인들이 모여 함께 운동 경기를 하는 올림픽이 있습니다.

올림픽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요? 오래 달리는 마라톤 종목의 유래는 뭘까요?

어떤 학원들을 보면 ‘스파르타식 교육’이라는 말을 쓰는 곳이 있습니다. 스파르타식 교육은 뭘까요?

오늘은 서양 문명의 토대가 된 그리스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전개

1. 폴리스의 형성과 발전

기원전 2000년 경부터 에게해의 여러 섬과 연안에서 크레타 문명미케네 문명 등 청동기를 바탕으로 한 에게 문명이 발달하였습니다.

다음 영상을 보고 에게 문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원전 1200년 경 에게 문명이 몰락한 후, 남쪽으로 내려간 그리스인들은 해안에 가깝고 방어하기 좋은 곳에 모여 살기 시작했습니다. 10세기 경부터는 폴리스라는 작은 도시 국가들이 등장했습니다.

다음 영상을 보겠습니다.

그리스는 여러 폴리스로 나뉘어 있었지만 그리스인들은 같은 언어를 사용하였고, 올림피아 제전을 열어 유대감을 다졌습니다.

2. 아테네와 스파르타

그리스의 대표적인 폴리스로는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손꼽힙니다. 이들은 각기 다른 모습으로 발전하였습니다.

다음 영상을 보고 아테네와 스파르타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아테네

아테네 초기에는 소수의 귀족들이 정치를 담당했습니다. 그러나 무역과 상업 활동으로 부유해진 평민들이 스스로 무장하여 전쟁에 참여하기 시작했습니다. 스스로 무장하고 전쟁에도 참여했으니 평민들의 입김이 쌔지기 시작합니다.


마 귀족! 우리도 나라를 위해 희생하고 있어!

똑같이 나라를 위해 봉사하고 희생하는데 왜 너희만 정치를 독점해?

이건 아니지이~~~

이에 평민들의 정치 참여 요구가 높아졌고 평민의 정치 참여가 점차 확대되었습니다.

아테네의 민주정치는 기원전 5세기 중엽 페리클레스 때 황금기를 맞이하였습니다.

페리클레스 흉상

시민권을 가진 남성들이 민회에 모였습니다.

민회가 실질적인 입법권을 가졌고, 대부분의 관직과 배심원은 추첨으로 선출되었습니다.

그러나 여성, 노예, 외국인은 정치에 참여할 수 없었습니다.

더 알아보기 1) 아테네 민주 정치의 발전

스파르타

정복 국가로 출발한 도리아인들은 스파르타를 세웠습니다. 스파르타는 소수의 시민이 다수의 피지배층을 다스리기 위해 강력한 군사 통치를 실시하였습니다. (군국주의 정책)

시민들은 어려서부터 아고게 등 엄격한 군사훈련을 받았습니다. 이때문에 스파르타는 막강한 군사력을 확보할 수 있었죠.

스파르타에서는 왕과 귀족들이 정치를 담당하였으며, 국가의 중대사는 민회에서 결정하였습니다.



더 알아보기 2) 스파르타의 교육

고대 그리스에 스파르타라는 도시 국가가 있었어요. 스파르타는 국민들의 교육을 모두 나라에서 도맡아 했어요. 태어나고 죽는 것까지도 나라에 철저하게 보고해야 될 정도였지요.

갓 태어난 아기가 몸이 약하면 들판에 버려 죽게 내버려 두었고, 건강한 아기만 부모에게 맡겨 7세까지 키우게 했어요.

남자 아이는 7세가 되면 누구나 국가에서 운영하는 교육장에 들어가 엄격한 군사 교육을 받아야만 했어요. 고통과 배고픔 등을 견디며 참는 법과 나라 사랑하는 법을 배우기 위해서였지요.

훈련을 받다가 다친 아이는 군인이 될 수 없었고, 끝까지 교육을 마친 아이만 비로소 성인으로 인정받아 결혼도 하고 떳떳한 직업도 가질 수 있었어요. 여자들도 남자들처럼 군사 훈련을 받았어요. 남편들이 전쟁에 나가거나 사망했을 때, 혼자서도 아이들을 잘 키울 수 있는 강한 엄마가 될 수 있도록 교육시켰던 거예요.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스파르타 교육 (그래서 이런 고사성어가 생겼대요, 2015.05.06., 우리누리, 하민석)

3. 그리스의 번영과 쇠퇴


기원전 5세기 무렵 서아시아 세계를 통일한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가 세 차례에 걸쳐 그리스를 공격하였습니다.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그리스의 폴리스들은 힘을 합쳐 마라톤 전투, 살라미스 해전 등에서 페르시아의 침략을 물리쳤습니다.


전쟁이 끝났으니 그냥 평소 예전처럼 지내면 될까요?

아닙니다. 페르시아가 세 차례나 쳐들어왔기때문에 언제 또 쳐들어올지 몰랐습니다.

전쟁에 확실히 대비하기 위해 그리스인들은 아테네를 중심으로 델로스 동맹을 맺었습니다.


동맹국들은 델로스 섬에 전쟁대비용 공동 금고를 설치하고 돈을 모았습니다. 그런데 델로스 동맹의 대표였던 아테네가 이 금고에 손을 대기 시작합니다;; (나중에는 금고를 아예 아테네로 옮겨버립니다ㅋㅋㅋ 이로써 아테네는 제국주의화 됩니다.)


델로스 동맹을 기반으로 아테네는 지중해 무역을 독점하였습니다. 그리고 델로스 동맹 금고의 돈을 기반으로 공무의 임무를 맡은 자에게 보수를 지급하는 등 아테네는 직접 민주정치까지 발전시키면서 전성기를 누렸습니다.


아테네가 너무 컸습니다.

이에 불만을 품은 세력들이 스파르타를 중심으로 펠로폰네소스 동맹을 맺고 아테네 세력과 전쟁을 치뤘습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이 전쟁에서 펠로폰네소스 동맹이 승리하였으나, 결국은 그리스의 내전이었기 때문에 그리스 전체가 쇠퇴하게 됩니다.

결국 그리스는 기원전 4세기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알렉산더) 대왕에게 정복되었습니다.

그리스

① 에게 문명

- 미케네 문명, 크레타 문명

⇾ 문명 몰락 후, 그리스인들이 내려와 도시 국가인 폴리스 건설

② 아테네

- 민주 정치 발전


- 솔론 집권기

⇾ 시민을 재산에 따라 차등적으로 정치에 참여시킴(금권 정치)


- 클레이스테네스 집권기

⇾ 혈연 중심의 부족제를 지역 중심으로 개편, 금권정치를 없앰

⇾ 부족에서 선출된 시민들이 민회 참여, 도편추방제 실시


- 페리클레스 집권기

⇾민회의 권한 강화, 공무를 맡은 자에게 보수 지급(델로스 동맹 개꿀), 추첨으로 관리 선발


- 도편추방제를 실시하여 독재를 할 가능성이 있는 자들을 아테네에서 추방함

- 여성, 노예, 외국인은 정치에 참여하지 못함 (20세 이상의 남성 시민만 정치 참여 가능)

③ 스파르타

- 군국 주의

- 소수의 도리아인이 다수의 노예들을 통제하기 위해 강력한 군사 훈련을 시민들에게 실시함

- 왕과 귀족이 정치를 담당

- 민회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함


④ 그리스의 번영과 쇠퇴


- 그리스 vs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 그리스의 승리

⇾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대비하기 위해 아테네를 중시으로 델로스 동맹 결성

⇾ 델로스 동맹을 기반으로 아테네의 성장 (지중해 무역 및 민주정치 등)

⇾ 아테네의 성장에 불만을 품은 세력들이 스파르타를 중심으로 펠로폰네소스 동맹 결성

⇾ 델로스 동맹(대표 아테네) vs 펠로폰네소스 동맹(대표 스파르타) (펠로폰네소스 전쟁)

⇾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승리

⇾ 그리스 전체의 쇠퇴

⇾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알렉산더) 대왕에게 멸망함

④ 그리스의 번영과 쇠퇴


- 그리스 vs 아케메네스 왕조 페르시아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 그리스의 승리

⇾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대비하기 위해 아테네를 중시으로 델로스 동맹 결성

⇾ 델로스 동맹을 기반으로 아테네의 성장 (지중해 무역 및 민주정치 등)

⇾ 아테네의 성장에 불만을 품은 세력들이 스파르타를 중심으로 펠로폰네소스 동맹 결성

⇾ 델로스 동맹(대표 아테네) vs 펠로폰네소스 동맹(대표 스파르타) (펠로폰네소스 전쟁)

⇾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승리

⇾ 그리스 전체의 쇠퇴

⇾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알렉산더) 대왕에게 멸망함

보충, 심화

[영상1] 펠로폰네소스 전쟁


[영상2] 이란이 마라톤을 금지하는 이유


[영상3] 살라미스 해전


[영상4] 영화 300 리뷰


내용구성: 조중훈(대구 능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