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20318)

06. 큰 변화가 일어난 춘추전국시대

도입

평화로운 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나라가 나누어지면서 서로를 공격하고 빼앗고 죽이는 혼란한 시대가 전개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혼란이 무려 500년 동안이나 지속됩니다.

무려 500년이나 말입니다.(조선 왕조가 대략 500년입니다.)


여러분이 이러한 혼란한 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어떻게 행동했을까요?

그리고 평화로운 시대와는 다르게, 혼란한 시대에서의 사회적 분위기는 어떻게 바뀌었을까요?


오늘은 춘추 전국 시대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전 중국 문명의 수업(3월 13일 금요일)을 안보고 온 학생들은 아래 링크에 들어가셔서

학습을 하신 뒤 오늘 수업을 들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전개

1. 춘추 전국 시대, 여러 나라가 경쟁을 벌이다

기원전 8세기 무렵, 주나라(서주)는 내부 혼란과 이민족(견융족)의 침입으로 수도를 호경에서 동쪽(낙읍, 뤄양)으로 옮겼습니다. 이때부터를 춘추 전국 시대(동주 시대)라고 합니다.

이와 관련된 주나라의 유왕과 포사의 일화를 보겠습니다.

봉건제를 기반으로 했던 중앙의 주나라가 내분과 이민족의 침입으로 약해졌고 수도까지 옮겼으니, 왕실의 체통도 그렇고 주변 제후들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이 없어지기 시작합니다.

제후들이 이틈을 노려 제각기 독립을 하기 시작합니다.


춘추 시대에는 춘추 5패가 왕을 받든다는 명분으로 주변 제후국을 거느렸고,

전국 시대에는 전국 7웅이 주변국을 통합하였습니다.


춘추 전국 시대에 관한 영상을 보겠습니다.

[영상1] 춘추전국시대


[영상2] 춘추전국시대

7분 50초 진나라 이전까지 시청 바랍니다.

2. 수많은 사상가가 다양한 주장을 펴다

춘추 전국 시대의 제후국들은 경쟁에서 제후국들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군대를 강하게 만드는 데 힘썼습니다(부국강병). 그리고 제후들은 신분과 출신을 가리지 않고 인재를 등용하여 부국강병을 이루고자 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사상가와 학파가 등장하였는데, 이를 제자백가라고 합니다.


제자백가는 혼란한 사회를 안정시키기 위해 인간의 본성과 사회 문제를 분석하고, 정치 개혁안을 제시하였습니다. 그중 유가, 묵가, 법가, 도가 등이 유명하였습니다.

유가에서는 공자와 맹자가 ‘인’과 ‘예’를 바탕으로 하는 도덕 정치를 주장하였습니다. (나)

묵가에서는 묵자가 혈연과 신분을 뛰어넘는 차별없는 사랑(겸애)를 주장하였습니다. (다)

법가에서는 상앙, 이사, 한비자가 엄격한 법에 따른 정치를 강조하였습니다. (신상필벌) (가)

도가에서는 노자와 장자가 인간의 욕심을 버리고 자연의 순리에 따를 것을 주장하였습니다. (무위자연) (라)


이러한 제자백가의 주장은 이후 중국의 학문과 사상의 바탕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정치와 문화에도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탐구해보기] 제자백가들이 추구한 사회 모습은 어떠하였을까?

정리

1. 춘추 전국 시대(동주 시대) (B.C.770~221)


① 주나라 왕실의 내분과 견융족의 침입으로 수도를 동쪽(낙읍, 뤄양)으로 옮김

- 주나라 왕실이 약해지자, 주변 제후국들이 제각기 독립을 하기 시작


② 철기 보급

- 철제 농기구와 소를 이용하여 농경이 이루어짐

⇾ 농업 생산력이 크게 증가

⇾ 남은 농산물을 팔기 시작함

⇾ 상업과 수공업이 발달하고 도시가 나타남


- 단단한 철제 무기가 사용되면서 전쟁의 규모가 커짐


③ 부국강병 추구

- 살아남기 위해 나라를 부유하게 하고 병력을 기름

⇾ 신분보다는 능력 위주로 유능한 인재를 등용


④ 제자백가

- 능력 위주의 사회와 더불어 사회 혼란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사상가들이 등장


- 유가(공자, 맹자 등)

⇾ 인과 예를 통한 도덕 정치 주장


- 묵가(묵자 등)

⇾ 혈연과 신분을 뛰어 넘은 차별없는 사랑을 주장


- 법가(상앙, 이사, 한비자 등)

⇾ 엄격한 법에 다른 정치 주장


- 도가(노자, 장자 등)

⇾ 자연의 순리에 따를 것을 주장

보충, 심화

[영상1] 영화 '묵공' 리뷰


[영상2] EBS 제자백가 - 묵자


[영상3] EBS 제자백가 - 장자


[영상4] EBS 제자백가 - 한비자


[영상5] EBS 제자백가 - 공자




내용구성: 조중훈(대구 능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