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20324)
Ⅱ. 전기와 자기
4. 전압
전지의 전압에 의해 전류가 흐르는 것을 모형으로 설명하고, 전류의 전압을 측정해봅시다.
[생각열기]
(출처: 유튜브)
(출처: 유튜브)
(Q) 물체는 어떻게 돌아가는 걸까요?
(A) 건전지가 전류를 흐르게 하여 물체가 돌아가도록 한다.
[탐구하기]
◎ 활동1 - 전자 제품은 어떻게 작동되는걸까?
(Q) 도선과 전구를 연결했을 때 전구에 불이 들어오나요?
(A) 불이 켜지지 않는다. 도선과 전구를 연결해도 전하를 이동시킬 에너지가 없다면 전구에는 불이 켜지지 않는다.
(Q) 전구에 불을 밝히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요?
(A) 전하를 이동시키는 능력을 가진 전지가 필요하다. 물의 흐름에 의해 돌아가는 물레방아처럼 도선을 따라 전류가 흘러야 전구에 불이 켜진다. 전지는 전기 회로 내에서 전자를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하여 전류를 흐르게 한다. (물의 흐름 = 전류, 물레방아 = 전구, 펌프 = 전지)
(Q) 휴대전화는 왜 꺼졌을까요?
(A) 휴대전화에 내장된 전지가 방전되어 휴대전화에 전류가 흐르지 못해서 꺼졌다.
◎ 활동2 - 전압계 사용법 알아보기
(Q) 전압계와 전류계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A) 전압계의 경우, 내부저항이 크기 때문에 전지와 직접 연결할 수 있다.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병렬로 연결해야 한다.
(Q) 전압을 측정하고자 할 때 전지와 전압계의 단자 연결은 어떻게 할까요?
(A) 전지의 (+)극은 전압계의 (+)단자와, 전지의 (-)극은 전압계의 (-)단자와 연결한다. 측정하고자 하는 전압값을 예상할 수 없는 경우 (-)단자 중 값이 가장 큰 단자(30V)부터 연결한다. 바늘의 눈금이 잘 보이지 않으면 값이 작은 단자로 이동하여 연결한다.(30V → 15V → 3V 순으로 연결)
(Q) 3V 단자에 연결했을 때 전압계의 눈금을 읽어봅시다.
(A) 1.5V이다.
[개념 정리하기]
1. 전압 : 전류를 흐르게 하는 능력
① 전압의 단위 : V(볼트)
② 전지의 전압이 높을수록, 더 센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2. 물의 흐름과 전기 회로의 비유 : 수압에 의해 물이 흐르듯이 전지의 전압에 의해 전류가 흐른다.
3. 전압의 측정
1) 전압의 측정 : 전압계를 사용하여 측정
*전압계 : 전기 회로에서 전압의 크기를 측정하는 기구
2) 전압계 사용법
① 영점 조절: 회로에 연결하기 전 영점 조절 나사로 바늘이 0을 가리키도록 조절
② 회로 연결: 측정하려는 곳에 전압계를 병렬로 연결한다. 전압계의 내부 저항은 매우 크기 때문에 전지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전압계의 (+)단자는 전지의 (+)극에 전압계의 (-)단자는 전지의 (-)극에 연결한다.
③ (-)단자 선택: 전압의 크기를 예상할 수 없을 경우 (-)단자 중 값(최대 전압값)이 가장 큰 단자(30V)부터 연결한다. 바늘의 눈금이 잘 보이지 않으면 값이 작은 단자로 이동하여 연결한다.(30V → 15V → 3V 순으로 연결)
④ 전압계의 눈금 읽기: 전기 회로에 연결된 (-)단자에 해당하는 눈금을 읽는다.
[도전하기]
[참고하기]
(출처 : 유튜브 전구송)
(출처 : 유튜브)
내용구성: 이수영(대구 덕화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