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3월 31일(화) 사회
우리는 모두 기업가입니다 - 기업의 역할과 사회적 책임
도입
여러분, 사진 속 인물이 누구인지 알고 있나요?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CEO이자 2019년 세계 부자 순위 3위인 빌 게이츠 입니다. 빌 게이츠는 기부를 많이 하는 것으로도 유명한데요. 동영상으로 확인해보아요~
5조 7천억, 정말 엄청난 기부금이죠? 오늘날에는 이윤을 극대화 하는 기업의 기본적 역할 외에도 기업이 윤리적이어야 하며, 사회에 기여하여야 한다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지요.
오늘은 기업의 역할과 사회적 책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의 물음표>
기업의 경제적 역할은 무엇일까?
기업이 사회적으로 져야 할 책임이 있을까?
기업가에게 필요한 자세는 무엇일까?
전개
<오늘의 느낌표1. 기업의 경제적 역할>
기업은 생산의 주체로서 업종에 따라 핸드폰, 쌀, 가방과 같은 재화나 운송, 미용, 교육과 같은 서비스를 생산해요. 생산이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노동, 토지, 자본과 같은 생산요소를 가계로부터 제공받고, 그 대가로 임금, 지대, 이자를 지불하지요. 또한 생산 활동으로 벌어들인 수입 중 일부를 정부에 세금으로 납부해요. 기업이 낸 세금은 정부의 *재정 활동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지요 기업의 경제적 역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아요.
*재정 : 정부의 수입과 지출에 관한 활동
<오늘의 느낌표 2. 기업의 사회적 책임>
광고를 통해 불의의 사고로 걸을 수 없게 된 장애인 양궁 국가대표 박중범 선수가 한 기업의 개발한 로봇다리를 이용해 두번째 걸음마를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는데요. 이와 같이 오늘날에는 기업의 경제적 역할 외에도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어요.
미국의 경제학자 캐롤(Archie Carroll)은 위와 같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피라미드를 제시했어요. 기업은 생산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 하는 경제적 책임 외에 법과 규제를 준수하고(법률적 책임), 사회의 도덕적 기준을 준수하며(윤리적 책임) 지역사회에 공헌(자선적 책임)하여야 한다는 사회적 책임을 지닌다는 내용인데요. 빌게이츠를 비롯한 세계적 기업가들의 자선활동,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BTS의 기부나 연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한 사례라고 할 수 있어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보아요.
기업은 경제 주체의 하나로서 경제 활동을 하는데요. 경제 주체에 관해 공부한 내용을 잠깐 확인해보도록 해요.
<오늘의 느낌표 3. 기업가 정신>
슘페터는 기술혁신을 통해 낡은 것을 파괴하고, 새로운 것은 창조하여 변혁을 일으키는 것이 기업가에게 중요하다고 보았는데, 그것을 ‘창조적 파괴’라는 용어로 설명했지요. 창조적 파괴는 기업가 정신을 말할 때 자주 등장하는 용어에요.
기업가 정신이란 위험을 무릅쓰고 이윤을 창출하려는 기업가의 의지를 말해요.
애플의 창업자인 스티브 잡스(Steve Jobs)는 개인용 컴퓨터 시장을 열었다고 할 수 있는데요. 그는 집의 창고에서 스티브 워즈니악이라는 엔지니어와 함께 기존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개인용 컴퓨터를 개발하였다고 해요. 이후 애플을 창업했고, 한때 그 회사에서 쫓겨나 픽사(Pixar)라는 회사를 인수하여 새로운 도약의 기반을 만들고, 다시 애플로 복귀하여 현재의 모습까지 성장시켜 왔지요.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가 정신의 사례로 故정주영 회장을 들 수 있어요. 강원도 통천에서 태어난 가난한 집안의 자식이었지만 맨손으로 오늘날의 현대그룹을 일구었지요. 그의 뜻을 받은 ‘아산나눔재단’은 현재 청년 기업가를 육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등 사회기여 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고 해요.
기업가 정신을 실현하기 위해 중요한 것으로 ‘혁신’을 들 수 있어요. 혁신이란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고, 생산 비용을 줄이기 위해 생산 기술을 발전시키거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등의 활동을 말해요.
마지막으로 아래 링크에 접속하여 기업가 정신에 관한 기사를 읽고 기업가 정신을 고취하기 위해 필요한 것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작성해보아요.
청소년의 기업가 정신을 고취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한 자신의 생각 쓰기
정리
내용구성: 김진아(대구 사대부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