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30311)
사회를 비추는 문학
[도입] 생각해봅시다
드라마를 보면서 ‘우리가 사는 세상과 비슷한데?’라고 생각한 적 없나요. 사실 대부분의 드라마들이 우리가 사는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며 이야기를 풀어나가죠. 문학 작품도 이와 다르지 않아요! 문학 작품도 우리가 사는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며 이를 바탕으로 창작되지요. 그렇다면 문학 작품에는 어떻게 사회가 반영되어 있는지 알아볼까요?
[전개] 공부 할 내용
우리가 배우는 문학 작품(소설, 시, 희곡, 수필)은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와 동떨어져 있지 않아요. 문학 작품을 창작한 작가도 자신이 몸담고 살아가는 사회 문화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고, 작가가 창작한 문학 작품도 보통 당시의 사회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가죠. 그렇다면 사회 문화적 배경이 어떠한 방식으로 문학 작품에 반영이 되는지, 고전 문학과 현대 문학 한 작품씩 살펴볼까요?
[고전작품]
먼저 고전 문학 작품부터 살펴보죠. 조선시대에 지어진 정약용의 수필 ‘파리를 조문하는 글’에서는 파리에게 말을 거는 형식을 빌려, 가혹한 세금 징수에 힘들게 살아야 했던 당대 현실 사회의 풍경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어요. 이를 통해 우리는 정약용이 살던 조선 시대를 살지는 못했지만, 이를 통해 당시 탐관오리들이 많고 세금 때문에 힘들어하는 백성들이 많았음을 알 수 있죠.
[현대문학작품]
그리고 현대 문학 작품인 오상원의 소설 ‘유예’를 살펴보면, 위 작품과 마찬가지로 우리가 그 당시에는 살지 못했지만 작품의 배경인 6·25 전쟁이라는 이데올로기(이념) 싸움을 보여주고, 그 이데올로기(이념) 싸움으로 무고한 사람들이 희생당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
[독자에게]
한편, 독자는 문학 작품을 감상하며 ① 문학 작품 속 사회 문화적 배경을 유추하게 되고 ② 작품의 주인공의 감정이나 상황에 공감을 하며 ③ 인간과 사회는 어떻게 살아가고 나아가야 하는지 그 방향에 대해 고민하게 됩니다.
[정리]
내용정리
문학 작품은 사회 문화적 배경을 바탕으로 창작되어요. 그리고 독자는 작품을 감상하며 경험하지 못했던 사회 문화적 현실을 알게 되고, 당시 사람들의 고통과 어려움도 이해하게 되죠. 그래서 작가의 의도를 알기 위해서는 작품의 소재가 되는 사회 문화적 배경에 대한 깊은 이해가 매우 중요하답니다!
[보충]
[댓글 시인]
앞서 배운 고전 작품 외에,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 사회의 모습을 조금 특별한 방법으로 보여주는 문학 작품을 소개할까 해요. 이 작품의 시인은 현실 사회를 가장 잘 보여주는 ‘뉴스 기사’란에 댓글로 시를 쓰며 사람들에게 감동과 위로를 전했습니다. 그럼, ‘댓글 시인’의 시를 한 번 감상해 볼까요?
내용구성: 김인영(대구 지산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