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20310)
생각 열기
지난 시간(3/9)에 우리는 말과 글이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았습니다.
말의 특성을 기억하며 오늘(3/10) 우리는 대화가 어떠한 가치를 지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영상을 통해 먼저 살펴볼까요?
오늘따라 진태의 기분이 좋지 않아 보입니다. 무슨 일일까요?
선생님과의 대화를 통해 알아보니 진태에게 그러한 일이 있었군요.
진태의 속마음을 선생님과의 대화로 알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대화는 상대를 이해하는 활동이며 동시에 나를 이해하는 방법이 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나를 둘러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죠.
앞서 알아본 대화의 가치, 이해가 되죠?
지금부터 바람직한 대화를 위하여 상대의 의도를 파악하는 듣기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합시다.
상대의 의도를 파악하는 듣기 (1)
대화를 할 때에는 어떠한 것에 신경을 써야 할까요?
전하고자 하는 내용, 목소리, 그리고 …..
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영상을 통해 확인해 봅시다.
영상에서 나온 것을 잘 이해했는지 간단한 퀴즈를 통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Q1. 두 참여자 중에 더 자신감 있는 사람은 누구였나요?
A1. 남자
Q2. 이러한 차이를 만들어 낸 이유는 무엇일까요?
A2. 준언어적 표현의 차이 때문입니다.
잠깐!
그렇다면 의사소통에는 언어적 의사소통만 있는 것이 아닌가 봅니다.
의사소통에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영상에서 본 바와 같이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있습니다.
언어적 의사소통은 말이 담고 있는 메시지인 언어적 의미를 가리킨다면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준언어적 표현에 해당하는 목소리의 크기, 빠르기, 억양, 말투와 같이 언어적 메시지를 표현하는 소리의 요소를 가리킨다고 할 수 있어요.
영상의 화면으로 정리해 봅시다.
이처럼 “열심히 하겠다”는 언어적 의사소통인 언어적 메시지는 동일하지만
준언어적 표현(목소리 크기, 말투)의 차이 즉,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차이로 남자인 화자의 메시지가 더욱 자신감 있고 믿음직스럽게 전달됩니다.
준언어적 표현이 의사소통에 끼치는 영향도 상당히 크죠?
미국의 사회학자이자 심리학자인 ‘알버트 메러비안’의 연구를 한 번 살펴볼까요?
Q3. 메시지 전달에 있어서 말, 태도, 준언어적 표현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A3. 태도 55%, 준언어적 표현 38%, 말 7%로 태도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앞서 배운 내용들을 잘 기억하며
다현이의 언니와 다현이의 대화에서 언어적 메시지와 준언어적 표현을 분석해 볼까요?
언어적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시간을 물음
준언어적 표현은 어떠한가요?
큰 목소리, 화난 말투
이처럼 상대방의 메시지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언어적 메시지와 준언어적 표현을 함께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시 말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언어적 의사소통,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요소 모두 중요합니다.
#대화 #비언어적의사소통 #준언어적표현
상대의 의도를 파악하는 듣기(2)
의사소통에는 언어적 의사소통과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있다는 것 잘 기억하고 있죠?
그 중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비언어적 표현과 준언어적 표현인데요.
앞선 영상에서 살펴본 것은 “준언어적 표현”이었습니다. 준언어적 표현은 언어적 메시지를 표현하는 소리의 요소를 말하는 것으로 목소리의 크기, 빠르기, 억양, 말투가 있죠.
한편, 비언어적 표현은 자세와 태도를 표현하는 요소들을 말하는 것으로 시선, 표정, 자세 몸짓(제스처), 옷차림 등이 있습니다.
준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이 헷갈린다구요?
단어의 의미에 초점을 두면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준언어의 ‘준’은 ‘준하다’의 뜻입니다. 회원가입을 할 때 ‘정회원’과 ‘준회원’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죠? 이때의 정식 회원까지는 회원에 준하는 회원을 지칭하는 ‘준회원’에 쓰인 것처럼 언어에 준하는, 언어적 메시지를 따르는 소리의 요소를 준언어라고 합니다.
비언어의 ‘비(非)’는 대부분의 친구가 알고 있을 텐데요. 맞아요. 아닐 비(非)입니다. 즉, 비언어는 언어가 아닌 것을 말합니다. 언어가 아닌 별개의 요소를 지칭하는 것이죠.
어때요? 이해가 쉬워졌죠?
아래 그림으로 정리해 봅시다.
그럼 이러한 비언어적 표현이 드러난 영상 속 의사소통 상황을 한 번 살펴볼까요?
이를 바탕으로 정리하면,
언어적 의사소통(언어적 메시지)뿐만 아니라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해당하는 준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비언어적의사소통 #준언어적표현 #비언어적표현
상대의 의도를 파악하는 듣기(3)
한 남녀가 문자를 주고받고 있네요.
남녀의 카톡 내용이 어떠한가요? 눈치가 빠른 친구들은 벌써 알아챘을 텐데요!
여자가 남자의 데이트 신청을 거절하고 싶은 마음을 돌려서 이야기하는 것 같죠?
이렇게 돌려서 간접적으로 자신의 의도를 전달하는 방법을 우회적 표현이라고 합니다.
Q4. 그렇다면 왜 직접적으로 이야기 하지 않고 돌려서 이야기를 하는 것 같나요?
영상에서도 나왔었죠!
A4. 우회적 표현을 사용하면 상대방에게 부담과 상처를 덜 주기 때문입니다
우회적 표현이 어렵다구요?
그렇지 않아요! 우리 생활에서도 자주 쓰이는 것이 바로 우회적 표현이랍니다.
친구의 부탁을 거절 할 때 단호하게 “안 돼!”라고 말하기 보다는 “내가 그 날 바쁜 일이 있어.”라고 하며 간접적으로 표현할 때 듣는 친구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겠죠?
또 어떠한 표현이 있을까요?
추운 겨울, 교실 창문이 열려 있습니다.
창문 근처에 앉아 있는 친구에게 “창문 좀 닫아!”라고 명령조로 말하는 것보다
“오늘 날씨가 좀 춥지?”라고 말한다면 그 친구에게 덜 부담을 주면서 자신의 의도를 전달할 수 있겠죠?
#우회적표현 #우회적표현의효과 #상대의의도파악
정리하기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확인하는 퀴즈입니다.
아래 링크를 눌러 성실하게 푼 후 제출해 주세요.
보충학습
이 시간에 알아본 것을 복습할 겸 아래 영상을 볼까요?
앞서 살펴본 ‘알버트 메러비안’의 연구를 상세히 보여주는 영상입니다.
비언어적 표현의 힘을 느껴 봅시다!
심화학습
이 시간에 알아본 상대의 의도를 파악하는 듣기를 위하여는 상대의 의도가 드러나 있는 준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언어적 표현 중 ‘몸짓’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정 몸짓이 어떤 의미를 나타내는지 소개해 줍니다. 영상을 시청하며 특정 몸짓이 어떠한 의미를 나타내는지 파악해 봅시다.
내용구성: 배설화(대구 강북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