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와 일본은 같은 시간대를 사용한다. 왜냐하면 두 나라 모두 표준경선 135°E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지리 정보와 지리 정보 기술이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활용되는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인공위성의 활용등으로 다양한 지리정보기술을 더욱 쉽게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커뮤니티 매핑처럼 지리정보 기술을 이용한 각종 공공서비스도 늘어나고 있다.
(1) ( ➊ ): 다양한 지리 현상을 확인하고 분석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자료
(2) ( ➋ ): 다양한 지리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관리·분석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결과물을 생산해 내는 기술
(3) 생활 속 지리 정보 기술의 활용 사례: 공공 서비스, ( ➌ ), 생활 정보 제공 등
➊ 지리 정보 / ➋ 지리 정보 기술 / ➌ 길 찾기 기능
▴공공 서비스(서울특별시 심야 버스 노선)
▴길 찾기(내비게이션)
▴생활 정보(음식점 찾기)
요즘엔 생소한 장소를 찾아갈 때면
자연스럽게 스마트폰의 지도 어풀을 켜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도는 이처럼 평소 길찾기 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데도 활용되는데요.
바로 '커뮤니티 매핑'의 이야기입니다.
커뮤니티 매핑은 Community(지역사회)와 Mapping(지도)의 합성어로서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지식과 의견을 공유하는 지도로 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사례를 함께 볼까요?
① 세계의 기후 지역은 어떻게 구분할까?
내용구성: 김연정(대구 유가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