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20309)
음성 언어의 특징 (1)
말과 글은 어떻게 다를까요?
정약용이 아들들에게 남긴 편지를 보면서 글의 특성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그리고 그 글과 말이 어떻게 다른지 해당 영상(e-학습터-중학교-2학년-공통-국어)을 통하여 알아봅시다.
정약용의 편지를 읽었을 때 기분이 어땠나요?
유배의 상황에서도 꿋꿋하게 버텨내고 멀리 떨어진 아들들을 걱정하며 시련을 견뎌내는 법에 대한 아버지의 진솔한 마음이 느껴지지요?
그런데 만약 나의 아버지께서 이처럼 말을 했다고 생각했을 때의 느낌은 어떤가요?
남자 주인공처럼 아빠의 잔소리가 또 시작되었구나 하는 생각이 드나요?
이러한 차이는 왜 발생하는 걸까요?
맞아요! 바로 글(문자 언어)과 대화(음성 언어)의 차이에서 오는 거랍니다.
글과 대화의 차이점을 표로 정리해 보면 이렇게 정리할 수 있어요.
음성 언어의 특징 (2)
말과 글의 차이는 앞서 살펴본 것 외에도 이러한 것이 있습니다.
다시 한 번 살펴볼까요?
이러한 차이점을 잘 기억하며 진태의 일기(글)를 살펴봅시다.
반면, 진태의 일기에 나타난 상황을 진태, 유빈이 현이가 대화(말)하는 상황을 살펴볼까요?
일기와 대화 상황은 같은 사건을 다루고 있지만 상당히 다르죠?
일기(글)와 대화(말)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가요?
일기
대화
대화 상황에는 일기와 달리, 유빈이와 현이가 궁금해하는 것(지갑 주인은 누구인지 등)을 즉각적으로 질문하고 답하는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네요.
일기
대화
그리고 유빈이가 한 질문 기억이 날까요?
유빈이가 진태에게 “도서관에 책 빌리러 가던 길이라고 했잖아. 무슨 책 빌렸어?”라고 질문을 했었습니다. 이 질문에 대하여 진태가 대답을 하며 새로운 주제로 바뀌기도 하죠.
이처럼 대화 상황에는 새로운 주제로 내용이 바뀌어도 계속 대화가 유지된다는 특징이 있어요.
이처럼 말(음성 언어)과 글(문자 언어)은 상당한 차이가 있죠?
글과는 다른 말이 가지는 특성 때문에 대화를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과연 무엇일까요?
네. 그렇죠. 영상에서 보는 것처럼 바로 ㅎ ㅈ ㅈ 태도 입니다.
화자의 말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며, 대화의 주제가 언제든 바뀔 수 있기 때문에 대화에 계속 집중하고 있는 협조적 태도가 필요한 것이죠!
정리하기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정리한 표입니다. 꼭 기억해 둡시다!
보충학습
이 시간에 알아본 것을 바탕으로 복습할 겸 아래 영상을 볼까요?
보고 싶은 할머니에게 솔직한 자신의 마음을 전하려고 합니다.
어떠한 방식으로 전할까요?
영상을 보며 전달 방식의 특징에 유의하며 전달 내용을 살펴 봅시다.
E-mail, 문자 메시지, 편지,,,,,, 이들은 모두 문자 언어를 전하는 매체입니다.
음성 언어와 다른 문자 언어의 특성을 이해했으니 <심화>로 넘어가 음성 언어에 대하여 공부해봅시다.
심화학습
이 시간에 알아본 문자 언어와 음성 언어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우리는 앞으로 음성 언어를 이용한 소통, 즉 대화에 대하여 배울 것입니다. 대화를 할 때는 어떻게 하면 좋은지, 어떠한 대화가 바람직한 대화인지를 생각하며 아래 영상을 시청해봅시다.
사람들의 마음을 녹이는 따뜻한 말 [말 잘하는 법, 인간관계, 화법]
[EBS-교육시리즈, 또 다른 언어]
방글라데시 라는 국가명 들어 본 적이 있죠? 인도 북동부에 위치한 나라입니다. 이 나라에도 언어가 당연히 있을 겁니다. 그러나 이 나라의 언어는 우리가 아는 언어와 사뭇 다르다고 합니다.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 영상을 통해 확인해 봅시다.
내용구성: 배설화(대구 강북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