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단원에서는 물질의 바탕이 되는 기본 성분인 원소와 물질을 이루는 기본 입자인 원자에 대해 알아보고 원자, 분자, 이온의 개념을 구별하고 이를 모형과 기호로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봅시다.
아래의 사진은 생수에 들어있는 물질의 함량입니다.
▲출처: 제주 삼다수
표시된 무기 물질들은 생수 속에 고체 상태로 존재할까요?
사진은 금속 나트륨입니다.
(출처:위키피디아)
위 사진의 나트륨과 생수 속에 들어있는 성분인 나트륨은 같은 나트륨일까요?
다르다면 생수 속에 들어 있는 물질은 원소 기호를 사용하여 어떻게 나타내면 될까요?
생수에는 여러 가지 무기 물질이 들어 있는데 이들은 고체 상태가 아닌 물에 녹아 이온 상태로 존재합니다.
하지만 생수병에는 생수에 들어 있는 이온이 이온식이 아니라 원소 기호로 쓰여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트륨의 경우 Na로 표기하는 것이 아니라 나트륨 이온인 Na⁺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영상을 보고 이온을 읽고 쓰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A. Ca(칼슘 원자) → Ca²⁺(칼슘 이온) + ⊖⊖(전자2개)
A. Cl(염소 원자) + ⊖(전자1개) → Cl⁻(염화 이온)
A. 나트륨 이온, 리튬 이온, 알루미늄 이온
A. 플루오린화 이온, 황화 이온, 브로민화 이온, 산화 이온
다양한 이온을 이온식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했다면, 이온을 모형으로 나타내봅시다.
A. 리튬 이온(Li⁺)
A.
1. 이온식
원소 기호와 이온이 띠고 있는 전하의 종류를 표시하여 이온을 나타낸 것
(예) 마그네슘 이온
2. 이온의 표현
1) 칼슘 원자가 이온이 되는 과정
① 칼슘 원자의 원소 기호를 적는다 ⇨ Ca
② 전자를 잃었기 때문에 (+)를 쓴다 ⇨ Ca⁺
③ 전자를 잃은 개수를 쓴다 ⇨ Ca²⁺
2) 염소 원자가 이온이 되는 과정
① 염소 원자의 원소 기호를 적는다 ⇨ Cl
② 전자를 얻었기 때문에 (-)를 쓴다 ⇨ Cl⁻
③ 전자를 잃은 개수를 쓴다(얻거나 잃은 전자의 수가 1인 경우에는 제외한다) ⇨ Cl⁻
3. 여러 가지 이온
이온은 1개의 원자로 이루어진 것도 있지만, CO₃²⁻(탄산 이온)과 같이 여러 개의 원자가 모여 이루어 진 것도 있다.
(출처: 위키피디아)
내용구성: 이수영(대구 덕화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