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단원에서는 부등식과 그 해의 의미에 대해 알아봅니다.
우리는 1학년 때 수의 크기를 비교하면서 ‘부등호’를 사용한 표현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같이 복습해 볼까요.
우리는 생활 속에서 굳이 부등식으로 표현하진 않지만, 부등식의 의미를 담고 있는 표현이나 표시를 많이 볼 수 있어요.
예를 들어 도로 곳곳에 있는 속도 제한 표지판이나 놀이공원에서 볼 수 있는 놀이기구 탑승 제한 표시는 부등식으로 표현되어 있진 않지만, 모두 부등식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
이제 부등식에 대해 배워볼까요?
부등식과 그 해는 무엇일까요?
교통카드에 5,000원어치 충전하면 앞으로 버스를 몇 번 탈 수 있을까요?
아래 표지판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영상을 보면서 위 상황들을 부등식으로 나타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잘 배워보았나요? 그럼 다음 문제를 해결해 보도록 해요!
[문제] 25kg까지 실을 수 있는 가정용 카트로 3kg짜리 사과 상자를 옮기려고 하는데 카트에 2kg짜리 포도 1상자가 이미 실려 있습니다. 사과 상자를 한 번에 최대 몇 상자까지 옮길 수 있을까요? 한 번에 옮기려는 사과 상자의 수를 x개라 하면, x는 어떤 조건을 만족시켜야 할까요?
부등식과 부등식의 해가 무엇인지 정리해 봅시다.
내용구성: 이수예(대구 동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