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20327)
03. 일차부등식
03. 일차부등식
3. 일차부등식의 풀이(1)
3. 일차부등식의 풀이(1)
이 단원에서는 일차부등식의 풀이 방법에 대해 알아봅니다.
준비하기
준비하기
‘이항’이 무엇인지 기억나나요? 등식의 한 변에 있는 항을 부호를 바꾸어 다른 변으로 옮기는 것을 이항 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항을 이동한 것이 아니라 등식의 양변에 같은 수를 더하거나 빼어도 등식이 성립한다는 성질을 이용한 것인데요. 그 결과가 이동한 것과 같이 보이므로 이항 이라고 합니다. 예를 통해 알아봅시다.
좌변에 있던 4가 우변으로 옮겨지면서 ㅡ4가 되었음을 알 수 있죠?
Q. (1)에서 등식의 어떤 성질이 이용되었나요?
등식의 양변에서 같은 수를 빼어도 등식은 성립한다.
방정식에서와 마찬가지로 부등식에서도 부등식의 성질을 이용하면 부등호의 한쪽에 있는 항을 다른 쪽으로 이항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일차부등식에 대해 알아봅시다.
탐구하기
탐구하기
일차부등식은 어떻게 풀 수 있나요?
아래 왼쪽의 일차방정식을 풀어봅시다.
일차부등식은 어떻게 풀 수 있을지 생각해 보면서 영상을 통해 푸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봅시다.
잘 배워보았나요? 이제 오른쪽 일차부등식을 풀어보세요.
부등식의 해는 어떻게 되나요? x > 1이죠.
이때 1보다 큰 모든 수는 주어진 부등식 xㅡ1 < 4xㅡ4를 참이 되게 합니다.
해 x >1를 수직선 위에 나타내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정리하기
정리하기
도전하기
도전하기
다음 상황을 보고 문제를 풀어봅시다.
[출처: EBSMath]
내용구성: 이수예(대구 동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