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2] 3월 30일(월) 역사
12. 쿠샨 왕조와 간다라 양식
도입
지난 시간에는 불교와 상좌부 불교를 중심으로 한 마우리아 왕조에 대해 배워봤습니다.
오늘은 마우리아 왕조와 간다라 양식을 중심으로 배워볼건데요.
쿠샨 왕조의 금화를 보면 한 면에는 카니슈카왕이, 다른 면에는 부처가 새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쿠샨 왕조는 동전의 양면에 카니슈카왕과 부처를 새긴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가 평소 알고 있던 동양적인 불상의 모습과는 다르게, 서양인을 닮은 불상이 쿠샨 왕조 시기 간다라 지방에서 생겨나기 시작했습니다(간다라 양식).
이러한 간다라 양식의 불상이 생겨난 이유는 무엇일까요?
전개
1. 쿠샨 왕조에서 대승 불교가 발전하다
아소카왕이 죽은 뒤, 마우리아 왕조는 급속히 쇠퇴하기 시작했습니다.
마우리아 왕조가 무너지고 1세기 중엽에 이르러 이란 계통의 쿠샨 왕조가 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쿠샨 왕조는 인도의 서북부 지역을 다시 통일하였습니다.
2세기 무렵 쿠샨 왕조의 전성기를 이끈 왕은 카니슈카왕이었습니다.
카니슈카왕은 간다라 지방을 중심으로 동서 교역로를 장악하고 북인도에서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영토를 확보하였습니다.
그러나 마우리아 왕조의 아소카왕 사후 나라가 쇠퇴하기 시작했듯이,
쿠샨 왕조도 카니슈카왕 사후 급속히 쇠퇴하였고 4세기 전반 결국 멸망하고 말았습니다ㅜㅜ
카니슈카왕은 불교에 관심이 많아 많은 불경을 정리하고 교리를 전파하였습니다.
이에 힘입어 개인의 해탈보다 대중(중생)의 구제를 강조하는 대승불교가 발전하였습니다.
대승 불교는 중앙아시아와 중국으로 전파되었고, 중국적 색채가 더해져 우리나와 일본에까지 전해졌습니다.
더 알아보기 1) 대승불교와 상좌부(소승) 불교
(3분 24초까지 보시고, 대승 불교에서는 중생구제 정도만 이해하시면 됩니다)
불교 성립 초기에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그대로 따르며 개인의 엄격한 수행을 통한 해탈을 강조하는 상좌부 불교가 유행하였습니다. 그러나 일반 민중이 출가하여 엄격한 수행을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에 쿠샨 왕조 시기에는 선행을 통한 중생의 구제를 강조하는 대승 불교가 발전하였습니다. 대승(大乘)은 ‘중생을 태우고 가는 큰 수레’라는 뜻으로, 대승 불교에서는 개인의 구제에 치우친 상좌부 불교를 ‘소승(小乘)’이라고 비판하였습니다. 이후 불교는 중생의 구제를 우선시하는 대승 불교와 개인의 해탈을 우선시하는 상좌부 불교로 나누어졌습니다.
탐구해보기 1) 상좌부 불교와 대승 불교
Q1. (가), (나) 불교의 각 명칭은 무엇일까요?
A1. (가) 대승 불교, (나) 상좌부 불교
Q2. 다음 표의 빈칸을 채워봅시다.
A2. 쿠샨, 중앙아시아 및 동아시아(중국, 한국, 일본), 중생(대중)
마우리아
2. 간다라 양식이 탄생하다
지난 시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서북부 인도를 공격하였다고 배웠습니다. 이후 인도 서북부 간다라 지방에서는 예술 양식의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지난 시간에 본 영상이지만, 다시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초기 불교에서는 부처의 모습을 직접 표현하는 것이 불경하다고 여겨 불상을 만들지 않고 탑이나 보리수, 부처의 발자국 등 다양한 상징으로만 부처를 표현하였습니다. 그러나 기원전 1세기 무렵부터는 인도 문화와 헬레니즘 문화가 융합된 간다라 양식의 영향을 받아 부처를 인간의 모습으로 표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불상의 첫 시작이 간다라 지방이랍니다.)
간다라 양식은 쿠샨 왕조 시기 크게 발달하기 시작합니다.
간다라 양식의 불상들은 카니슈카왕의 지원을 받아 활발히 제작되었습니다.
더 알아보기 1) 간다라 양식2
간다라 양식은 대승 불교와 함께 중앙아시아를 거쳐 비단길을 따라 우리나라와 일본에까지 전파되었습니다.
정리
쿠샨 왕조와 간다라 양식
① 쿠샨 왕조
- 1세기 중엽 쿠샨 왕조가 성장하여 이후 인도 서북부 지역 통일
⇾ 카니슈카왕때 전성기
- 카니슈카왕
⇾ 간다라 지방을 중심으로 동서 교역로 장악
⇾ 대중(중생)의 구제를 강조하는 대승 불교 발전
⇾ 이후 대승 불교는 중앙아시아를 거쳐 동아시아에 전파됨
② 간다라 양식
-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의 서북부 인도 공격
⇾ 이후 인도 문화와 헬레니즘 문화가 융합된 간다라 양식 발전
- 초기 불교에서는 부처의 모습을 직접 표현하지 않음
⇾ 불상을 만들지 않고 탑, 보리수, 부처의 발자국 등 다양한 상징으로 부처를 표현
⇾ 기원전 1세기 무렵 간다라 양식의 영향을 받아 부처를 인간의 모습(불상)으로 표현
⇾ 간다라 양식은 대승 불교와 함께 중앙아시아, 동아시아에 전파됨
보충, 심화
동아시아의 불교 수용
인도에서 불교가 사라진 배경
세계테마기행
간다라, 세계의 종교 불교를 낳다
내용구성: 조중훈(대구 능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