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3월 30일(월) 사회

효율이나 형평이냐? - 시장 경제 체제와 계획 경제 체제

도입

<생각 두드리기>

여러분, 사진 속 북한 시장을 무엇이라 하는지 알고 있나요? (힌트: ㅈㅁㄷ)

바로 *장마당입니다. 사진 속 장마당의 모습은 우리가 생각하는 북한의 모습과 많은 차이가 있는데요. 공동 생산, 공동 분배를 기본으로 하는 북한에서도 자유로운 시장 거래의 모습들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지요.

* 장마당 : 북한에서 물건을 사고 파는 시장. 2018년 기준 북한에서 공식 인정한 장마당의 수는 436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간 경제 격차는 점점 더 커지고 있는데요. 관련 뉴스를 감상해보아요.

남한과 북한 간의 격차가 점점 커지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요?

오늘은 시장 경제 체제와 계획 경제 체제에 대해 알아보아요.


<오늘의 물음표>

  1. 기본적 경제 문제에는 무엇이 있을까?

  2. 시장 경제 체제와 계획 경제 체제는 어떻게 다를까?

  3.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가 채택하는 경제 체제는 무엇일까?

전개

오늘의 느낌표1. 기본적 경제 문제>

경제 문제는 곧 선택의 문제라 할수 있는데요, 여러분 선택의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기억나나요?

--------------------------------------------------------------------------------------------

바로 희소성 때문이지요~

--------------------------------------------------------------------------------------------

모든 사회는 희소성으로 인해 세 가지 기본적인 경제 문제에 부딪히게 되는데요. 관련 내용을 영상으로 확인해보아요.


https://cls.edunet.net/play/view.do?e=hZ3tWEgvK

인간의 욕구는 무한하지만 이를 충족시킬 자원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사회는 한정된 자원을 가지고 “무엇을 얼마나 생산할 것인가”에 대한 선택을 해야 합니다. 또 한정된 생산요소(노동, 토지, 자본)을 가지고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를 선택해야 하지요. 마지막으로 생산된 가치를 생산 활동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의 문제인 “누구를 위하여 생산할 것인가”에 대해 선택해야 합니다.

<오늘의 느낌표2. 시장 경제 체제와 계획 경제 체제>

위 영상을 통해 세 가지 기본적인 경제 문제를 어떤 제도적 방식으로 해결하는가에 따라 시장 경제 체제계획 경제 체제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는데요.


세 가지 기본적인 경제 문제가 시장 가격을 통해 해결되는 경제 체제를 시장 경제 체제라고 합니다. 시장 경제 체제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 애덤 스미스에 관한 영상을 확인해 보아요.


https://youtu.be/PKHIrqCs7hI

애덤 스미스는 국가의 간섭이 없다면 자연적으로 각 개인은 사회가 필요로 하는 물건을 생산해서 자신의 이익을 최대로 높일 수 있다고 보았어요.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 석유를 필요로 한다면 석유의 시장 가격은 오를 것이고, 이에 따라 생산자들은 더 많은 석유를 생산하여 자신의 이익을 높이려 하겠지요. 석유의 생산량이 증가하면 소비자들은 필요한 석유를 구입하고, 생산자는 판매로 인한 이익을 얻게 되겠죠. 그렇다면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보다 석유가 과도하게 생산되었을 때 시장 가격에 의해 어떤 조정이 일어날까요? 자신의 생각을 써봅시다.

시장 경제 체제에서는 재화와 서비스를 사려는 사람과 팔려는 사람의 자발적인 의사로 거래가 이루어지며 자원은 필요한 사람에게 돌아가게 되는데요. 시장에서 이러한 조정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시장 가격입니다.

애덤 스미스는 시장 가격을 ‘보이지 않는 손’이라 표현했는데요, 이러한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개인의 이익이 사회의 이익을 최대한 증대시키는 결과 가져오게 된다고 주장했지요. 즉, 간섭이 없는 자유로운 상태에서 경제는 가장 효율적이고 생산적일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습니다.

개인의 자유로운 이익 추구를 인정하는 시장 경제 체제에서는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이익을 얻는 효율성을 강조하기 때문에 사회 전체의 생산 증대를 가져오지요.


하지만 효율성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빈부격차, 환경 오염, 노동 문제 등 시장 가격의 기능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사진 - 브라질의 빈민촌 ‘파벨라’

세 가지 기본적인 경제 문제를 국가의 계획과 명령에 의해 해결하는 경제 체제를 계획 경제 체제라 합니다. 계획 경제 체제는 생산 수단을 공유하는 사회주의와 결합하여 부의 공평한 분배를 목표로 하고 있지요.

하지만 계획 경제 체제는 다양한 욕구를 가진 국민에게 필요한 것을 적절히 공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요. 또 근로의욕 저하에 따른 생산량의 감소, 효율성 저하라는 한계를 안고 있지요.

<오늘의 느낌표3. 혼합 경제 체제>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가 채택하고 있는 경제 체제는 무엇일까요? 북한의 장마당을 통해 보았듯이 오늘날 순수한 계획 경제 체제를 채택하고 있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듭니다.

그렇다면 시장 경제 체제는 어떨까요? 우리나라의 경우 시장 경제 체제를 기본으로 하지만 국가가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는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경제에 개입하고 있는데요, 우리와 상황이 비슷한 미국이나 유럽 국가 또한 순수한 시장 경제 체제를 채택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겠지요.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는 시장 경제 체제를 바탕으로 정부가 경제에 어느정도 개입하는 혼합 경제 체제를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웃 국가인 중국도 계획 경제 체제를 기반으로 하였지만 시장 경제 체제의 요소를 도입하면서 크게 경제 발전을 이룬 경우라고 할 수 있지요.


https://youtu.be/eJGtrur8SBQ

정리

<QUIZ QUIZ>

경제 체제에 대해 잘 이해했는지 확인해보아요.

<핵심 내용 정리>

오늘의 핵심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여러분,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

내용구성: 김진아(대구 사대부중)

다음 시간 공부하러 가기